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생리 중 가임력검사 가능할까?
- 가임력 검사를 예약했는데 생리가 시작됐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생리 중 진행 가능한 검사와 피해야 할 검사를 구분해, 날짜를 미뤄야 할지 아니면 그대로 받아도 되는지 정확히 알려드립니다.

가임력 검사는 난임을 고민하거나 임신을 준비하는 여성들이 자신의 생식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받는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하지만 검사를 앞두고 갑자기 생리가 시작된다면, “그냥 받아도 될까?”, “미뤄야 하나?” 고민되기 마련이죠.
이 글에서는 생리 중에 가임력 검사를 받아도 되는지, 검사 항목별로 가능한 것과 피해야 할 것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가임력 검사란 무엇인가요?
가임력 검사는 여성의 임신 가능성과 생식기관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주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검사 항목설명
호르몬 검사 | 난포자극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H), 에스트로겐(E2), AMH 등 |
자궁·난소 초음파 | 자궁내막 두께, 난소 모양, 난포 수 확인 |
자궁난관조영술(HSG) | 난관 폐쇄 여부 확인 |
혈액 검사 | 갑상선 기능, 프로락틴 등 기타 내분비 상태 확인 |
2. 생리 중에도 가능한 검사 vs 피해야 할 검사
생리 중이라고 해서 모든 검사를 못 받는 건 아닙니다.
검사 목적과 시기에 따라 오히려 생리 중에 받아야 하는 검사도 있습니다.
✅ 생리 중 (특히 2~5일차) 가능한 검사
검사명설명
FSH, LH, E2 혈액검사 | 생리 2~5일 사이에 측정해야 정확 |
AMH 검사 | 생리 주기와 관계없이 가능 |
기초혈액검사 | 일반 혈액검사 가능 |
👉 생리 중이라도 호르몬 수치를 확인하려는 검사라면 오히려 생리 초기에 받아야 합니다.
❌ 생리 중 피하는 것이 좋은 검사
검사명이유
자궁 초음파 (질식) | 출혈로 정확도 낮고, 감염 위험 |
자궁난관조영술(HSG) | 생리 종료 후 시행해야 염증 예방 가능 |
자궁경 검사 | 시야 확보 어려움 + 불편감 증가 |
📌 따라서 생리 중에는 혈액 검사 위주로 진행하고,
자궁이나 질을 관찰하는 검사는 생리 종료 후 받는 것이 안전하고 정확하겠습니다.
3. 검사 일정, 어떻게 조정하면 좋을까요?
병원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생리 시작일을 기준으로 검사 일정을 재조정해줍니다.
💡 검사 일정 조정 팁:
- 생리 시작일 기준 2~5일 사이에 병원 방문 예약 변경
- 자궁 초음파는 생리 종료 2~3일 후 진행하는 것이 이상적
- HSG(자궁난관조영술)는 생리 끝나고 3~7일 이내에 시행하는 경우가 많음
❗ 중요한 건, 생리 주기와 검사 목적을 의료진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며,
병원에 전화해 상황을 설명하면 검사 일정 조정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4. 생리 중 검사 시 유의사항
- 출혈량 많을 경우엔 초음파 정확도 떨어질 수 있으니 생리 끝나고 예약하는 게 좋습니다.
- 위생상 불편하거나 감염 우려가 있는 검사는 피하시는 게 안전합니다.
- 피검사(혈액)는 생리와 관계없이 가능하지만, 일부 호르몬 수치는 정해진 날짜가 중요합니다.
✅ 결론
- 가임력 검사 중에서도 호르몬 수치를 확인하는 FSH, LH, E2 등은 생리 시작 후 2~5일차에 시행해야 가장 정확하므로, 생리 중에도 검사 진행이 가능하겠습니다.
- 반면에 자궁초음파나 자궁난관조영술처럼 질내 접근이 필요한 검사들은 생리 중 시행 시 정확도 저하 및 감염 우려가 있어 생리 종료 후로 미루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병원 측에 현재 생리 중임을 알리고, 검사 항목에 따라 일정 조정이 필요할 수 있으니 진료 전 간단한 문의를 통해 검사 항목 확인 및 재예약을 권장드리겠습니다.
- 생리 주기를 기준으로 하는 검사는 날짜 계산이 중요하므로, 생리 시작일과 종료일을 정확히 기록해두시면 이후 검사 계획에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 결론적으로, 질문자님은 검사 항목에 따라 일부는 그대로 진행 가능하며, 나머지는 생리 종료 후로 미루어 더 정확하고 안전한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 출처
- 서울대병원 건강칼럼: 여성호르몬 검사 시기
- 대한산부인과학회 진료지침
- 차병원 난임센터 가임력 검사 프로토콜
- 고려대학교 병원 여성클리닉 상담사례
- 여성건강상담 유튜브 <닥터베베> 콘텐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