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식후 2시간 혈당 낮추기
- 식후 2시간 혈당이 잘 떨어지지 않는 경우, 식단과 운동 외에도 식사 순서, 식사 속도, 생활 습관이 중요합니다. 실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혈당 안정화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 남편분처럼 식후 2시간 혈당 수치가 높게 나오는 경우는 당뇨 전단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초기로 이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조기 관리만 잘 해주면 충분히 조절 가능하다는 점에서, 지금부터 실천하시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이 글에서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관리하는지,그리고 실질적으로 효과 본 방법들을하나씩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식후 2시간 혈당 기준이 뭔가요?
정상 | 140mg/dL 이하 |
당뇨 전단계 | 140~199mg/dL |
당뇨 확정 | 200mg/dL 이상 |
✅ 식후 2시간은 식사 시작 기준 2시간 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2. 식단은 괜찮은데 왜 혈당이 높게 나올까요?
이미 건강한 식단과 운동을 하고 있음에도 혈당이 높다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함께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 식사 ‘내용’보다 ‘순서’가 더 중요할 수 있어요
식이섬유 → 단백질 → 탄수화물 순으로 먹으면
혈당 급상승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예:
- 나물, 샐러드
- 생선, 두부, 달걀
- 밥, 고구마 등 탄수화물
👉 이 순서 하나만 바꿔도 식후 혈당이 눈에 띄게 안정되었다는 후기 많습니다.
3. 식사 시간과 속도는?
빨리 먹는 습관도 혈당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하나를 20~30번 꼭꼭 씹고, 식사 시간은 15분 이상으로 유지해주세요.
📌 혈당 관리는 “무엇을 먹느냐”보다 “어떻게 먹느냐”가 더 중요할 때도 많습니다.
4. 식후 10~15분 후 걷기 = 최고의 혈당 조절 운동
운동을 한다고 해서 식전에 하는 것보다 식후 10~15분 후 가볍게 걷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입니다.
- 식사 후 15~30분 산책 (빠르게 걷기 추천)
- 실내에서 제자리 걷기 15분도 OK
✅ 이 정도 걷기만 해도 혈당 상승폭을 30~50 정도 줄이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5. 숨어 있는 당분, 숨어 있는 탄수화물
밥, 고구마만 조심하면 될까요? 아닙니다.
숨어 있는 당분과 탄수화물이 혈당을 올릴 수 있습니다.
조심해야 할 대표 음식:
- 요구르트, 과일주스 (과당 함량 높음)
- 크래커, 식빵, 떡 (정제 탄수화물)
- 감자, 옥수수, 단호박 (당질 높은 채소)
👉 '건강해 보이는 음식'도 실제 혈당에는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식품 성분표를 잘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6. 스트레스와 수면도 혈당에 큰 영향을 줍니다
혈당은 단순히 음식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 수면 부족: 인슐린 민감도 저하
- 스트레스: 코르티솔 수치 상승 → 혈당↑
✅ 수면은 하루 6~8시간,
자기 전 휴식 루틴 (스트레칭, 명상, 따뜻한 물 마시기 등)도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7. 그래도 혈당이 잘 안 떨어진다면?
식후 2시간 혈당이 계속 140~180 이상 나온다면,
조기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검사:
- 공복 혈당 검사 (FBS)
- 식후 혈당 검사 (PPBS)
- 당화혈색소 (HbA1c) – 최근 3개월 평균 혈당
- 인슐린 저항성 검사
✅ 특히 HbA1c 수치는 병원에서 쉽게 검사받을 수 있고,
기초적인 당뇨 여부도 체크할 수 있습니다.
✅ 결론
- 남편분의 식후 혈당이 높게 나오는 이유는 식사 내용뿐 아니라 섭취 순서, 식사 속도, 운동 타이밍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 식이섬유 → 단백질 → 탄수화물 순서로 드시고, 식후 15분 내 가벼운 걷기를 15~30분 실천해보시길 권장드리겠습니다.
- 숨어 있는 당분, 정제 탄수화물 섭취는 줄이고,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도 병행해주셔야 하겠습니다.
- 그래도 수치가 계속 높게 나온다면, 병원에서 혈당 관련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과 예방을 시작하시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 지금처럼 관심을 갖고 꾸준히 관리하시는 자세가 가장 중요한 첫걸음이 되겠습니다.
📚 출처
- 대한당뇨병학회 식후혈당 가이드
-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건강칼럼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생활 가이드
- 하버드의대 건강블로그: 식사 순서와 혈당 변화 연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