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양도소득세 계산법 쉽게 정리했어요
- 부동산, 주식, 가상자산을 팔았다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양도차익 계산부터 기본공제, 보유 기간별 세율까지 실제 사례로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1. 양도소득세란?
양도소득세는 말 그대로 자산을 '양도(팔거나 넘긴 것)'하면서 발생한 이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대표적인 양도세 대상 자산:
- 🏠 부동산 (주택, 토지, 상가)
- 📈 주식 (비상장주식, 해외주식 등)
- 💰 가상자산 (비트코인 등, 2025년부터 적용)
즉, “산 가격보다 비싸게 팔았다면 세금 내야 한다”는 원리예요.
2. 양도소득세 계산 기본 구조
양도소득세는 아래와 같은 계산식으로 결정됩니다:
양도소득세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공제액)] × 세율
✅ 용어 설명:
- 양도가액: 실제 판매한 금액
- 취득가액: 처음 산 금액 (취득세 포함)
- 필요경비: 중개수수료, 리모델링 비용 등
- 공제액: 기본공제 250만 원 또는 장기보유특별공제 등
3. 부동산 양도소득세 계산 예시
📌 예시 조건: - 2010년 아파트 구입: 3억 원 - 2024년 양도금액: 6억 원 - 중개수수료: 300만 원 - 기본공제: 250만 원
✅ 계산: - 양도차익 = 6억 – 3억 – 300만 – 250만 = **2억 6,950만 원** - 세율: **15% (2억 이하)** + 누진세 적용 → 약 4,000만 원 내외의 양도세가 부과됩니다.
💡 단, 보유 기간이 길수록 장기보유특별공제(최대 30%)를 받을 수 있어요!
4. 부동산 보유 기간 & 세율
양도소득세는 보유 기간, 거주 기간,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 1세대 1주택자는 실거주 2년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12억까지 비과세** 가능!
5. 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주식도 일부 종목에 대해 양도소득세가 발생합니다.
✅ 과세 대상 주식:
- 📉 비상장주식
- 🌍 해외주식 (미국, 일본 등)
- 🔧 대주주 보유 국내 상장주식
📌 **일반 개인 투자자가 국내 주식 매매로 수익**을 낸 경우에는 2024년까지 양도세 비과세입니다. 하지만 해외주식은 연간 250만 원 초과 수익 시 과세 대상</strong이에요.
✅ 해외주식 양도세 계산 예시: - 애플 주식 매도 차익: 500만 원 - 기본공제: 250만 원 → 과세표준 = 250만 원 → 22% 세율 → 세금 = **약 55만 원**
6. 양도소득세 신고 시기
✅ 부동산: - 양도일 기준 **익월 말일까지** 예정신고 - 매년 5월에는 정산 포함한 **확정신고**
✅ 해외주식/가상자산: - 양도한 해의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와 함께 신고
📌 미신고 시 가산세, 무신고 가산세 등 **최대 40% 이상 페널티**가 붙을 수 있으니 꼭 기한 내 신고하세요!
7. 홈택스에서 양도세 계산하는 법
- 1️⃣ 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
- 2️⃣ [세금 모의계산] 메뉴 선택
- 3️⃣ [양도소득세 자동계산] 클릭
- 4️⃣ 부동산 or 주식 선택 → 항목 입력
모의계산은 실제 신고용이 아니므로 결과만 참고하고, 실제 신고는 ‘양도소득세 신고’ 메뉴에서 따로 진행해야 합니다.
8. 마무리 – 미리 준비하면 세금 줄일 수 있어요
양도소득세는 미리 계산하고 준비하면 공제 전략, 보유 전략 등을 효과적으로 세워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특히 부동산이나 해외주식은 양도 시점에 따라 세금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양도 전 세무상담 또는 홈택스 계산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필수!**
📌 숨은 비용 없이 내 수익을 지키려면, 양도 전에 한 번 더 확인하세요!